일자별 분석

23년 9월10일 MLB분석 '애리조나 vs '시카고컵스'

오타니사생팬 2023. 9. 10. 00:04
반응형

 

 

 

 

 

 

 

 

 

 

23년 9월10일 MLB분석 '애리조나 vs '시카고컵스'

금일 애리조나 선발은 메릴켈리 , 컵스는 스틸입니다.

갓스틸형님 과연 오늘도 한건 해주시나요...?

 

분석 시작합니다.

 

각팀 선발투수 현황 살펴보겠습니다.

켈리는 올시즌 11승 6패 기록중이며, 3.22의 평자, 1.17의whip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직전 콜로라도와의 경기에서 7이닝 4피안타 1자책점으로 승수를 쌓았고

기억이 잘 나지 않지만 해당경기에서 팀 연패를 끊어줬던 역투를 한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콜로 이전 경기였던 다저스와의 경기는 5이닝 12피안타 7자책점 기록하며 떡발렸었지만

뭐 자주 나오는 일은 아니니 당분간 잘 던져주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상세스플릿상 올시즌 원정에서 다소 좋지 못했으며 낮경기에서 약간은 불안한 모습을 보인 켈리입니다.

작년 데이터보니 낮경기를 오히려 잘 던졌으니 낮/밤 데이터는 무시하고 

원정은 기본적으로 기본 평자보다 조금 높았던 켈리입니다.(상대적 원정 약체)

 

컵스의 신적인 존재가 되었네요 입술없는 스틸....

직전 샌프전에서 8이닝 2피안타 무실점으로 완봉승 했습니다.

보통 이런경우 다음경기 살살 털려주는게 국룰이긴 한데 흠....

올시즌 홈에서 2.25의 평자를 기록하고 있고 낮경기 스텟도 매우 좋은 스틸입니다.



최근 각팀의 홈/원정 성적확인한번 해보겠습니다.

원정에서 36승 33패 기록중인 애리조나이고 현재 3연승으로 분위기 한껏 끌어올린 상태입니다.

컵스는 홈에서 40승 33패 기록중이고 2연패 기록하며 스틸이 출전하는 내일 반드시 분위기 전환이 필요한 상태네요

컵스는 1등 밀워키와 지구우승까지 승차가 3경기 이므로 동기부여가 높은 상태고

애리조나또한 다저스와 승차는 있지만 마지막 와일드카드 티켓을 위해 부지런히 달려야 하는 상황입니다.


최근 양팀의 맞대결 성적과 최근 10경기 성적살펴보고, 선발투수vs상대팀 성적살펴보겠습니다. 

올시즌 두번의 맞대결이 있었고  1차전 2차전 전부 내줬던 컵스이기에 내일 이악물고 하지않을까 생각됩니다.

애리의 최근 10경기 입니다. 4오버 6언더 기록중이고 

전일 갤런의 9이닝 완봉승으로 깔끔하게 1대0승리를 챙겼던 애리입니다.

내일 분위기 이어갈 수 있을지 

반면 컴스는 샌프를 스웝할 정도로 분위기가 좋았고

타선의 힘도 좋았었는데 애리조나의 투수력에 막히며 홈에서 뜬금 삽질하고 있습니다.

 

시리즈 3차전 승률은 두팀 다 좋지 못한 상황이지만 애리가 더 안좋긴 하네요

무튼 그래도 연승타고 있는건 애리니까 큰 변별력은 없겠습니다.

켈리의 컵스 상대전적입니다.

21년에 두번만나 승리를 챙겼고

작년에 한번만나 5이닝 5피안타 3자책점 내주며 팀이 패배했었네요 1오버 2언더

스틸의 상대전적도 1승 1패로 동률이네요 다만 켈리에 비해 확실히 안타는 많이 안맞는 스틸입니다.

올시즌 최고의 기량을 보여주고 있는 스틸이며

전일 갤런의 호투를 봤으니 내일 똑같은 상황이 연출되지 않을까 감히 예상합니다.

 

 


(불펜실적 궁금하신분은 커버스닷컴 참고)
요약 : 애리가 좋습니다.


부상자 명단은 아래와 같습니다.




해당경기 주심 정보 공유드립니다.

내일 주심은 스튜주심이네요 올시즌 홈승 12번, 원정승 12번 언오버도 동일한게 12번씩 발생했습니다.

다만 애리조나 상대로 한번 출전했었는데 홈팀승 및 오버가 떴었네요

날씨는 

 

 

 

 

 

 

 

 

 

 

 

 

내야로 바람이 조금 부는 상황이네요

내일 두팀 투수 모두 최근 컨디션도 좋은데 등뒤로 바람이 불어주면 언더가 뜰거 같은 느낌도 듭니다.

 

 

결론 : 승리는 솔직히 컵스의 승리를 보는게 당연해보이는데

배당메리트때문에 언더로 갈까 마핸으로 갈까 생각중입니다

하... 고민스럽네요

 

주력 : 컵스 승.

 

 

내일 경기도 화이팅합시다

 

좋아보이는게 많은데 분석은 여기까지만 할게요!

반응형